동기면담
-
동기면담(과정, 변화대화, 유지대화, 저항)사회복지(Social Welfare) 2023. 9. 23. 00:04
1. 동기면담의 과정 1) 관계 형성하기 -어떤 종류의 상담 혹은 심리치료 유형이든 간에 내담자와의 만남에서 제일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단계는 관계 형성이며 소위 라포 형성하기라고도 합니다. -관계 형성하기는 대인 관계의 토대, 즉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관계형성을 의미합니다. 또한 면담자가 협동, 수용, 동정, 유발이라고 하는 동기면담 정신을 내담자에게 전달할 때 가능한 과정입니다. 즉 상호 신뢰하는 협동정신을 이야기합니다. 2) 초점 맞추기 -초점 맞추기는 관계형성과 이어져 있지만 또 하나의 별개 과정이기도 합니다. 내담자가 방문한 목표가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것이 초점 맞추기의 과정입니다. 내담자는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면담자는 초점 맞추기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어야 합니다. -의제의 개념은..
-
사회복지 이론-강점관점과 강화사회복지(Social Welfare) 2023. 9. 21. 23:35
사회복지 현장이나 실천에서 혹은 사례관리를 진행함에 있어 아주 많이 그리고 자주 듣는 이야기는 무엇일까? 바로 강점관점입니다. 강점관점 사례관리, 강점관점 사고, 강점관점 시각 등 다양한 섹터에서 강점관점이라는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그럼 강점관점이란 무엇일까요? 어렵지 않습니다. 아주 쉽게 생각하면 강점에 대한 관점을 이야기합니다. 이는 기존에 사례관리나 구호나 복지 등 모든 것들이 어려운 사람들 대상으로 할 때, 그들의 문제나 어려움, 문제점, 약점 등에 초점을 맞혀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을 극복하는데 초점을 맞춥니다. 즉 약점이나 문제점, 어려움 등이 아니라 강점에 초점을 두고 강점적인 관점으로 대상자를 바라보자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대상자라 하더라도 가난함에 초점을 맞추기..
-
동기면담(핵심기술)사회복지(Social Welfare) 2023. 9. 16. 17:33
이번에는 동기면담에서의 핵심기술에 대해 함께 살펴보고자 합니다. 동기면담은 개인적으로 생각할 때, 상담이나 사례관리를 하게 된 초심자 또는 입문 단계에서 교본의 하나로 써도 좋을 만큼 아주 기본적이면서도 실질적인 내용들을 주로 다룹니다. 특히 상담학을 공부한 적이 있는 필자로써는 이러한 스킬들이 이렇게 연결된다는데 또 한 번 놀랐을 정도입니다. 동기면담의 핵심기술을 살펴봄으로써 우리가 현장에서 또는 실무에서 핵심기술을 실제로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앞으로 계속해서 동기면담을 살펴볼 텐데, 그 가운데 오늘 알아보는 기술들이 여러 가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우선, 동기면담의 핵심기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동기면담의 핵심기술(OARS) O : 열린 질문..
-
동기면담 이론(의사소통 스타일, 변화단계 모델)사회복지(Social Welfare) 2023. 9. 15. 21:58
지난번 포스팅을 통해 우리는 동기면담의 정의와 대략적인 개요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동기면담을 활용하는 데 있어 필요한 다양한 의사소통 스타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의사소통(커뮤니케이션 스킬)은 사실 동기면담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 있어 중요합니다. 그럼에도 동기면담에서 이 의사소통을 다루는 이유는 동기면담을 하는 데 있어 가장 핵심적인 도구이자 수단이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의사소통을 살펴본 뒤에는 동기면담 변화단계 모델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동기면담이 진행될 때 어떠한 단계를 거치게 되는지 살펴볼 예정입니다. 1. 동기면담적 의사소통 스타일 지시하기 -면담자 자신이 중심이 되어 내담자와 소통하는 의사소통 스타일 : 류마티즘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으로 의사를 찾아온 환자에게..
-
사회복지 이론-동기면담(동기면담의 개념, 정신, 의의)사회복지(Social Welfare) 2023. 9. 8. 19:00
이제부터는 사회복지의 이론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자본주의를 이야기하면서 뜬금없이 사회복지냐 할 수 있겠지만 자본주의와 사회복지의 머나먼 항해를 떠나는 과정에서 저는 우선 사회복지를 샅샅이 조사하고 확인하면서 토대를 쌓기로 하였습니다. 지난날 사회복지의 역사와 전 세계의 유래를 살펴본데 이어 이번에는 사회복지의 여러 가지 다양한 이론들을 하나씩 살펴보고 깊이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그 첫 번째 시간으로 [동기면담]을 선택하였습니다. 본 동기면담이론은 [알기 쉬운 동기면담/신수경]을 읽고 공부하면서 익힌 것들을 요점 사항 위주로 다시 한번 복기하며 정리해 본 것들임을 밝히는 바입니다. 1. 변화와 동기면담 1) 사람은 변화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나누곤 한다. -사람들은 좋든 싫든 간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