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동기면담(핵심기술)
    사회복지(Social Welfare) 2023. 9. 16. 17:33
    반응형

      이번에는 동기면담에서의 핵심기술에 대해 함께 살펴보고자 합니다. 동기면담은 개인적으로 생각할 때, 상담이나 사례관리를 하게 된 초심자 또는 입문 단계에서 교본의 하나로 써도 좋을 만큼 아주 기본적이면서도 실질적인 내용들을 주로 다룹니다. 특히 상담학을 공부한 적이 있는 필자로써는 이러한 스킬들이 이렇게 연결된다는데 또 한 번 놀랐을 정도입니다. 동기면담의 핵심기술을 살펴봄으로써 우리가 현장에서 또는 실무에서 핵심기술을 실제로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앞으로 계속해서 동기면담을 살펴볼 텐데, 그 가운데 오늘 알아보는 기술들이 여러 가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우선, 동기면담의 핵심기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동기면담의 핵심기술(OARS)
    O : 열린 질문하기(Open-ended questions) 내담자의 자유로운 발언을 이끌어 냄
    A : 인정하기(Affirmations) 목표 행동을 향한 변화 동기를 증진함
    R : 반영하기(Reflections) 내담자의 말을 면담자가 이해한 대로 말함
    S : 요약하기(Summaries) 내담자의 말이나 생각을 선별하여 목차를 쓰는 것처럼 열거하여 정리함

    2. 열린질문과 닫힌질문 -열린 질문과 닫힌질문의 예시 알아보기
    -열린 질문과 닫힌질문 구별해 보기
    -열린 질문과 닫힌질문 실습해 보기 (둘이서 짝을 지어 청자와 화자의 입장이 되어 역할극 진행)
    -질문하기와 반영하기에 대한 동기면담 지침
      : 상담에서 3번 이상 질문하지 않는다.
      : 닫힌 질문과 열린질문의 비율을 5:5 이상 가져간다.(열린 질문 5할 이상)
      : 하나의 질문을 한 후에는 최소 2개의 반영을 한다.

    3. 인정하기
     관계 형성하기에서 인정하기는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사람은 자신의 강점을 찾아내어 칭찬하고 격려하는 사람을 신뢰하고, 그 사람의 말에 경청하고 그 사람에게 개방하며 그 사람과 시간을 더 많이 보내고자 합니다. 따라서 인정하기는 면담에 참여하려는 의지를 높일 수 있으며 방어적인 태도가 줄어들게 돕습니다.
    - 인정하기의 예시 알아보기
    - 인정하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이야기하기
    - 인정하기와 동의하기의 차이 및 유의점 확인하기

    4. 반영하기
      반영하기는 경청을 토대로 가능합니다. 반영하기는 면담자가 내담자의 언어적 표현에 내포된 의미에 대해 가설을 세운 후 그 가설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기회를 갖게 해 줍니다. 반영하기는 공감을 표현하는 가장 으뜸이 되는 방법입니다. 동기면담에서는 언어적인 표현으로 반영하는 거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면담자가 정확하게 공감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내담자의 비언어적인 단서, 자세, 얼굴 표정, 목소리 톤, 시선 접촉, 제스처 등이 전달하는 의미를 잘 포착하여 언어적으로 반영하는 데 깊이를 더해야만 합니다.
    - 의사소통 과정 알아보기(인코딩-듣기-디코딩-반영하기
    - 디코딩(면담자가 이해한 내담자의 의미)의 중요성
    - 반영의 수준 알아보기(반복하기, 재진술하기, 다르게 표현하기)

    5. 단순반영과 복합반영
     단순반영은 일반적으로 내담자와 면담자의 대화에서 이해하였음을 전달하거나 대화를 촉진합니다. 내담자의 말을 똑같이 해주며 의미나 강조 혹은 깊으를 더하지 않습니다. 단순반영을 부호화할 때는 Rs라고 표기합니다.
    - 단순반영과 복합반영의 의미 이해하기
    - 단순반영과 복합반영 예시 알아보기
      복합반영은 여러 유형이 있는데, 면담자가 내담자의 진술에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복합반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면담자의 내담자 진술에 대한 반영 기술로, 복합반영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는지, 어떻게 내담자에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 복합반영의 유형 알아보기
    - 단순반영과 복합반영 실습해보기(둘이서 짝을 지어 청자와 화자의 입장이 되어 역할극 진행)
    - 단순반영과 복합반영의 차이
    - 반영하기의 길이와 강도 알아보기

    6. 요약하기
      세 개 이상의 반영을 한 번에 모아서 말하는 것은 요약하기가 됩니다. 이것의 목적은 내담자가 표현한 많은 것을 모아서 정보를 수집하여 표현 사이에 연결고리를 만들거나 하나의 탐색 영역에서 다음 탐색영역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데 있습니다. 요약하기는 본질적으로 방향 지향적인데, 왜냐하면 면담자는 요약하기에 무엇을 포함시킬 것인지에 전략적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요약하기의 세 가지 유형은 모으기, 잇기, 전환하기입니다. 모으기는 변화와 관련된 내담자의 진술을 모아서 요약하는 것입니다. 잇기는 내담자의 양가감정을 찾아서 불일치감을 느끼도록 연결해서 요약하는 것입니다. 전환하기는 면담자가 내담자와의 대화의 방향을 바꿀 때 지금까지 내담자가 말했던 내용을 요약한 후에 방향을 잡아서 본래의 주제로 넘어가는 데 사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 요약하기의 힘 이해하기

    7. 동기면담의 핵심기술 연결하기 : OARS 체험 및 실습하기
      관계 형성과정에서 동기면담 핵심기술을 사용하면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많은 정보를 캐내기 위해 스스로 함정에 빠지는 것을 유의해야합니다. 문제해결로 바로 들어가고자 하는 교정반사도 커다란 걸림돌이 됩니다. 무엇보다도 반영하기와 인정하기가 관계 형성 과정에서 자주 활용되어야 하는 핵심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상으로 동기면담의 핵심기술과 그 기술들을 반영하고 연결하고 연결하는 방법들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아직 현장에서 어떻게 쓰일 수 있는지 확실히 와닿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순 있겠지만 앞으로 남은 포스팅들을 통해 알아본다면, 충분히 그 질문에 대한 답이 되리라 생각하고, 향후 실질적으로 활용하는 데 있어 아주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해 봅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