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제도
-
생활 속 복지제도- 희망온돌 긴급위기가구지원(서울)생활 속 복지제도 2023. 9. 27. 21:19
지난 포스팅을 통해 우리는 국가형 긴급복지지원제도, 지자체(서울형, 경기도) 긴급복지지원제도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렇듯 국가는 다양한 위기상황 또는 긴급한 위기 속에서부터 시민들을 지원하기 위해 긴급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까지는 많이들 알고 계시지만, 바로 민간에서도 긴급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바로 '희망온돌 긴급위기가구지원사업'입니다. 희망온돌이라는 단어는 복지계에서 많이들 사용하고 있는 단어입니다. 그렇지만 '희망온돌 긴급위기가구지원사업은 서울시사회복지관협회 주최로 서울시 내 100여 개의 사회복지관들이 운영하고 있는 긴급지원제도'라고만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희망온돌을 꼭 알아야 하는 이유는 뭐냐면!! 기존 국가형 긴급복지지원제도들이 중위소득..
-
생활 속 복지제도-서울형 긴급복지지원, 경기도 긴급복지지원생활 속 복지제도 2023. 9. 26. 00:00
지난 포스팅에서는 국가형(보건복지부) 긴급지원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국가의 국민이 갑작스러운 위기상황에 놓였을 때 이렇게 국가차원에서 긴급지원을 하기도 하지만 거주지에 따라 지자체에서도 각 시민, 도민, 군민들을 위해서 긴급지원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가장 정확한 것은 자신이 속한 시, 도의 홈페이지 혹은 콜센터를 통해 문의해 보시면 자세하게 알 수 있습니다. 오늘의 포스팅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 지역인 서울과 경기도의 긴급복지지원 제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가형 긴급복지지원 제도에 이어 추가로 서울/경기도 등 지자체 긴급복지지원을 받을 수 있으니 꼭 숙지하고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 [사업목적] 갑작스러운 위기 사유의 발생으로 생계유지가 곤란한 저소득 위기가구에 대해 생계..
-
동기면담(과정, 변화대화, 유지대화, 저항)사회복지(Social Welfare) 2023. 9. 23. 00:04
1. 동기면담의 과정 1) 관계 형성하기 -어떤 종류의 상담 혹은 심리치료 유형이든 간에 내담자와의 만남에서 제일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단계는 관계 형성이며 소위 라포 형성하기라고도 합니다. -관계 형성하기는 대인 관계의 토대, 즉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관계형성을 의미합니다. 또한 면담자가 협동, 수용, 동정, 유발이라고 하는 동기면담 정신을 내담자에게 전달할 때 가능한 과정입니다. 즉 상호 신뢰하는 협동정신을 이야기합니다. 2) 초점 맞추기 -초점 맞추기는 관계형성과 이어져 있지만 또 하나의 별개 과정이기도 합니다. 내담자가 방문한 목표가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것이 초점 맞추기의 과정입니다. 내담자는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면담자는 초점 맞추기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어야 합니다. -의제의 개념은..
-
사회복지실천의 목표사회복지(Social Welfare) 2023. 9. 20. 22:41
오늘은 사회복지실천이 실제 행해지는 데 있어 어떠한 목표를 가지고 수행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분명히 어떤 일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는 분명하고 뚜렷한 목표와 목적의식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오늘은 이러한 것들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사회복지사협회는 사회복지실천의 목표를 크게 4가지로 분류하였습니다. 목표 1 : 사람들의 문제 해결능력, 대처능력, 발달능력 향상 환경 내 개인으로써 사회복지사는 주로 촉진자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역할 속에서 근로자는 상담자, 교사, 간병인(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고 사람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특정 행동에 대한 변화자의 활동을 맡을 수 있습니다. 목표 2 : 사람들에게 자원, 서비스 및 기회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연결 사회복지사는 개인-환경의 개념을 사용하며 사람이..
-
동기면담(핵심기술)사회복지(Social Welfare) 2023. 9. 16. 17:33
이번에는 동기면담에서의 핵심기술에 대해 함께 살펴보고자 합니다. 동기면담은 개인적으로 생각할 때, 상담이나 사례관리를 하게 된 초심자 또는 입문 단계에서 교본의 하나로 써도 좋을 만큼 아주 기본적이면서도 실질적인 내용들을 주로 다룹니다. 특히 상담학을 공부한 적이 있는 필자로써는 이러한 스킬들이 이렇게 연결된다는데 또 한 번 놀랐을 정도입니다. 동기면담의 핵심기술을 살펴봄으로써 우리가 현장에서 또는 실무에서 핵심기술을 실제로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앞으로 계속해서 동기면담을 살펴볼 텐데, 그 가운데 오늘 알아보는 기술들이 여러 가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우선, 동기면담의 핵심기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동기면담의 핵심기술(OARS) O : 열린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