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
-
사회복지 이론-강점관점과 강화사회복지(Social Welfare) 2023. 9. 21. 23:35
사회복지 현장이나 실천에서 혹은 사례관리를 진행함에 있어 아주 많이 그리고 자주 듣는 이야기는 무엇일까? 바로 강점관점입니다. 강점관점 사례관리, 강점관점 사고, 강점관점 시각 등 다양한 섹터에서 강점관점이라는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그럼 강점관점이란 무엇일까요? 어렵지 않습니다. 아주 쉽게 생각하면 강점에 대한 관점을 이야기합니다. 이는 기존에 사례관리나 구호나 복지 등 모든 것들이 어려운 사람들 대상으로 할 때, 그들의 문제나 어려움, 문제점, 약점 등에 초점을 맞혀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을 극복하는데 초점을 맞춥니다. 즉 약점이나 문제점, 어려움 등이 아니라 강점에 초점을 두고 강점적인 관점으로 대상자를 바라보자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대상자라 하더라도 가난함에 초점을 맞추기..
-
인간행동의 생태학적 모델사회복지(Social Welfare) 2023. 9. 19. 22:35
지난 포스팅에 이어 오늘은 생태학적 관점 및 모델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을 가질 예정입니다. 영화 '모던타임스'에 보면 산업화된 사회 속에서 인간이 기계의 시스템 안에서 돌아가며 겪게 되는 일들을 볼 수 있습니다. 단순히 산업혁명 시대에 기계화된 노동과 삶뿐 아니라, 그 이후에 인터넷혁명 등을 겪으면서 굉장히 고차원화된 현대 사회에서도 우리는 여전히 시스템과 생태계 안에서 존재하는 존재입니다. 한 명의 인간이 생활을 하는 데 있어서는 사회의 다양한 요소들로부터 영향을 받게 됩니다. 아침에 눈을 떠서 하루를 생각해 보면 자명종 시계소리에 정해진 시간 안에 기상을 하고, 양치와 세면을 한 뒤 정해진 지하철 시간에 맞춰 출근을 하고 출근을 한 뒤로부터는 회사 내의 시스템에 따라 일을 하고 휴식을 하고 점심을 먹..
-
동기면담(핵심기술)사회복지(Social Welfare) 2023. 9. 16. 17:33
이번에는 동기면담에서의 핵심기술에 대해 함께 살펴보고자 합니다. 동기면담은 개인적으로 생각할 때, 상담이나 사례관리를 하게 된 초심자 또는 입문 단계에서 교본의 하나로 써도 좋을 만큼 아주 기본적이면서도 실질적인 내용들을 주로 다룹니다. 특히 상담학을 공부한 적이 있는 필자로써는 이러한 스킬들이 이렇게 연결된다는데 또 한 번 놀랐을 정도입니다. 동기면담의 핵심기술을 살펴봄으로써 우리가 현장에서 또는 실무에서 핵심기술을 실제로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앞으로 계속해서 동기면담을 살펴볼 텐데, 그 가운데 오늘 알아보는 기술들이 여러 가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우선, 동기면담의 핵심기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동기면담의 핵심기술(OARS) O : 열린 질문..
-
사회사업가의 다양한 역할(개인, 단체, 지역사회 내)사회복지(Social Welfare) 2023. 9. 14. 23:38
사회복지사 활동은 한마디로 정의하면 개인, 단체, 가족, 조직 지역사회가 역량을 향상 또는 회복하고 목표에 적합한 사회적 조건을 만들 수 있도록 돕는 전문 활동입니다. 사회복지사협회는 사회복지사를 개인, 가족, 단체, 지역사회 등의 대상자를 위해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자신의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는 사회복지 학교의 졸업생들이라고 정의하였습니다. 이 사회복지사들은 사람들이 문제 해결과 대처를 위한 역량을 높이고 필요한 자원을 얻도록 돕고, 개인 간 또는 사람과 환경 간의 상호 작용을 촉진하며 조직이 책임감을 갖도록 돕습니다. 또한 사람들에게, 그리고 사회 정책들에 영향을 줍니다. 사회복지사는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책임과 의무 때문에 다른 직업들과 구별되기도 합니다. 사회복지사는 개인들, 집단들, 가족들..
-
사회복지사업, 사회사업(Social work)의 역사사회복지(Social Welfare) 2023. 9. 11. 22:25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회복지사업, 사회사업의 역사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우리는 기존에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의 역사에 대해서도 살펴보았습니다. 광의의 의미로의 사회복지는 인류가 사는 데 있어 필요한 모든 것들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보다 더 협의의 의미로 사회사업은 구체적인 과업, 디렉팅, 수행업무 등을 지칭하기도 합니다. 우리는 사회복지사업에 대해서 미국과 전 세계적 차원에서 처음 시작되고 발전한 모델들이 정신건강 쪽에 많은 비중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빈곤에 대한 문제해결이 가장 우선시 되는 사회였으면서도 나아가서는 전쟁과 대공황 등을 겪으면서 사람들에 대한 복지와 구제책들이 정신 및 보건 건강 쪽으로까지 미치게 된 것이라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회사업의 ..
-
사회복지사업, 사회사업(Social work)이란?사회복지(Social Welfare) 2023. 9. 10. 21:41
앞서 포스팅을 통해서는 사회복지란 무엇이고, 어떤 제도들이 있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다음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사회복지의 개념에서 한 발자국 더 나아가 그러면 사회복지사업, 사회복지업무들은 무엇일까?라는 질문에 답을 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사회복지가 너무 큰 개념이고 구체적으로 다양한 사회복지사업, 사회사업들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가 궁금하다면 앞으로의 포스팅을 주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사회사업은 각 개인이 느끼는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실제로 너무나도 다양한 영역이 있기에 모든 사람들의 생각에 딱 맞는 정의를 내리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영역이 분명히 존재하기에 이러한 것들을 폭넓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또한 이러한 사회사업들에 대해서 공식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