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일반주의 실천 및 실천 개론
    사회복지(Social Welfare) 2023. 10. 18. 11:37
    반응형

      오늘은 일반주의 실천 및 이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조금은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는데 이전에 알아보았던 것들 모두, 그리고 앞으로 살펴볼 모든 것들이 결국에는 사회사업 및 사회복지라는 큰 틀에서 이어지는 것들이니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보통 우리가 쉽게 접하거나 생각해 보는 사회사업가에 대한 전통적인 인식은 사례관리자, 그룹 또는 커뮤니티의 관리자, 커뮤니티의 주최자, 지역사회 조직 촉진자 등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회사업가들은 이보다 훨씬 더욱 복잡한 개념이라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모든 사회사업가는 개인, 가족, 집단, 조직, 지역사회와 함께 일할 때 변화의 촉진자(긍정적 변화를 주는)로 참여하게 됩니다. 이러한 수준에서 보내는 시간의 양은 활동가마다 다릅니다. 그러나 모든 활동가는 때때로 이러한 수준에서 효과적으로 기능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그들 모두에 대한 훈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모든 학사 및 석사 프로그램은 일반주의 사회복지 실무에 대한 학생들의 훈련과정을 요구하곤 합니다. 또한 일반주의 모델은 사회복지 업무에 적합한 개입 행동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활동가는 직접 서비스의 제공 및 관리, 사회정책의 개발, 사회변화의 촉진과 관련된 광범위한 업무를 수행해야 합니다. 일반주의자는 상호작용과 독립성을 강조하는 시스템 이론에 잘 근거해야 합니다. 사용될 주요 시스템은 서비스의 지역 네트워크입니다. 따라서 도시의 제너럴리스트들의 활동은 더 복잡한 자원들의 배분과 배열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만 할 것입니다.
     G. Hull은 일반주의 실천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일반주의 실천의 기본 원칙은 바칼로레아 사회복지사들이 개인, 가족, 집단, 조직, 지역사회를 포함한 다양한 규모의 시스템에 개입하기 위해 문제해결과정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바커는 일반주의 사회복지사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곤 합니다. 사회복지 업무에 있어서 지식과 기술이 광범위하고 문제와 해결책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전문가라고 말입니다. 일반주의자들은 전문가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촉진하여 전문가들의 노력을 조정하고 이를 통해 돌봄의 연속성을 기르는 역할을 합니다.
      한 학자는 또한 일반주의 관행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습니다. 일반주의 사회복지사들은 다양한 사회복지와 호스트 환경에서 개인, 가족, 집단, 지역사회, 조직과 함께 일하며 일반주의 사회복지사들은 모든 인간의 선천적인 능력을 인정하고 지원하며 이를 토대로 하여 고객과 고객 시스템을 강점의 관점에서 바라봅니다. 그들은 전문적인 문제 해결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고객과 고객 시스템을 대표하여 서비스를 참여, 평가, 중개, 옹호, 상담 및 조직화합니다. 또한 일반주의 실천가들은 지역 사회 및 조직개발에 참여하곤 합니다. 마지막으로 일반주의 실천가들은 대상자의 요구에 가장 적합한 서비스의 제공 및 품질을 지속적으로 향상하기 위해 서비스 성과를 평가하곤 합니다.
      일반주의 사회사업은 NASW윤리강령에 의해 인도되며 개인 및 가족, 그룹, 지역사회의 복지를 향상시키고 사회정의의 목표를 발전하는데 전념합니다. 교육 정책 및 인정 기준에서 사회복지 교육 위원회는 일반주의 관행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습니다. 일반주의 실천은 교양과 사람과 환경을 구성하는데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인간과 사회적 복지를 증진하기 위해 일반주의 실천가들은 개인과 가족, 집단, 지역사회와 함께 다양한 예방 및 개입 방법을 실천에 사용하기도 합니다. 또한 일반주의 실천가들은 사회복지직군과도 동일시되며 윤리적 원칙과 비판적 사고를 실천에 적용하기도 합니다. 일반주의 실천가들은 실천에 다양성을 포함하고 인권과 사회경제적 정의를 옹호하는 역할도 합니다. 그들은 모든 인간의 강점과 탄력성을 인정하고 지지하며 구축합니다. 그들은 연구 정보에 입각한 실천에 참여하고 전문적 실천에 대한 맥락의 영향에 능동적으로 대응합니다.
      이런 것들로 종합해볼 때, 일반주의 실천의 핵심은 환경 속의 개인적 관점에서 문제 상황을 보는 것과 다양한 역할을 가정하면서 필요하다면 다양한 수준에서 기꺼이 개입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합니다. 다음은 사회복지 업무 실천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고 다양한 역할에서 다양한 수준으로 대응하는 접근 방식을 설명해 보게 될 예정입니다.

      오늘은 다양한 관점에서 일반주의 실천가, 실천 및 일반주의론자들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조금은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었겠지만 앞으로 다양한 이론을 통해 다양한 이론을 뒷받침하고 이것들이 서로 어떻게 사회복지 안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직접 느끼면서 연결해볼 생각입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